주요뉴스
한글의 새로운 개발과 한자교육 강화
상태바
한글의 새로운 개발과 한자교육 강화
  • 강원구
  • 승인 2009.10.12 08: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원구∥한중문화교류회 중앙회장·동신대 초빙교수

국제적으로 사용하는 글자는 영어이며, 한자(漢字)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표기하는 동양어(東洋語)이다. 한글이 인도네시아 소수민족의 공식문자로 처음 수출됐다. 술라웨시 주(州) 부퉁 섬 바우바우 시(市)는 문자가 없어 사라질 위기에 놓인 찌아찌아어(語)를 표기하기 위해 한글을 도입했다.

찌아찌아족에게 한글학습 교과서를 만들어 학생들에게 가르치기 시작했는데, 손은 '을리마', 발은 '까께', 우산은 '빠우'로 쓴다. 찌아찌아어의 어떤 발음도 표기가 가능한 한글의 우수성이 해외에서 확인된 것이다.

중국 호남성 장사시의 거리에 한글표기가 많이 되어 있다. 시내는 물론, 관광지를 비롯한 공항, 역에도 한글이 많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지만, 만주족은 옛날에는 말과 글자가 있었지만, 지금은 글자만 있을 뿐 말할 줄 아는 사람이 없다.

인도는 유구한 역사를 지닌 나라이며, 세계 7대 불가사의 하나인 타지마할묘가 있는 나라다. 그런데 인도인들간에 서로 언어가 통하지 않아 영어로 대화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필리핀도 따갈로그어는 있지만 글자는 없으며, 미국의 지배를 받아 영어를 사용하고 있다.

세계에는 6,000여종의 언어가 있었지만, 이미 2000여종은 사멸되었다고 한다. 그것은 글자화 되지 못한 군소 언어이다. 일부는 머지않아 영어 공용화로 우리말도 사라질지 모른다고 우려하지만, 세계 13위를 자랑하는 한국어는 기우(杞憂)에 불과하다.

우리 한글은 자음과 모음의 순열 조합만 잘하면 세계 인구가 내고 있는 음성 대부분을 표기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우리 한글은 영어 알파벳보다 훨씬 소리나는 데로 적을 수 있다. 영어의 ‘ㅓ’ 와 ‘ㅡ’ 같은 발음이 없지만 우리는 적을 수 있다.

외국인들이 ‘서석동’의 ‘Seo Seok Dong’을 ‘세오 세오크 동’으로 읽으며, ‘금남로’의 ‘Geum Namno’을 ‘게움 남노’로 읽으며, ‘의’자 영문표기 더욱 어렵다. 알파벳은 여러 음가(音價)로 쓰여 혼란스럽고, 풀어쓰기여서 음절 경계가 정확하지 않다. 학교인 School이나, 식당인 Restaurant은 글자와 발음이 너무 많이 차이가 나 외우지 않으면 알 수 없다.

반면 한글은 글자 수가 적고, 한 글자가 한 음가만 반영해 명쾌하며, 모아쓰기여서 음절이 명확하다. 한글은 ㄱ. ㄴ. ㅁ.ㅅ.ㅇ. 등 다섯 개의 기본자음에 소리가 거세짐에 따라 하나씩 획을 더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가장 뛰어난 음소(音素)문자로 꼽힌다. 영어처럼 문자와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우리 한글에도 문제는 있다. 외국어 발음은 있지만 우리 글로 적지 못하는 것도 많다. 예를 들면 ‘f, v ’음은 적을 수 없다. 세계적인 글자로 성큼 다가서기 위해서 외국어 발음을 마음대로 적을 수 있는 글자를 개발해야 한다. 외국 사람들이 우리 글을 잘못 읽는 사람도 많다. “왜 ‘않다’의 경우 ‘안타’로 쓰지 않으며, ‘값이’라고 쓸 때는 ‘갑시’라고 읽으면서 ‘값어치’ 할 때는 ‘갑서치’가 읽지 않고 ‘가버치’로 읽는가”라는 질문을 자주 한다.

한글만이 최고라 생각은 버려야 한다. 초등학생들이 한자를 많이 배우고 있지만, 학교에서는 가르치지 않고 있다. 한자를 배우지 않고, 중국어만 배우면 한자의 우리 발음은 알지 못하고, 중국음으로 알아버리는 까막눈이 되어 버린다. 東(동)을 ‘둥’, 江(강)을 ‘장’, 胡(호)를 ‘후’, 溫(온)을 ‘원’으로 읽어버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한자를 교육하지 않으면 피해를 보는 것은 교육자도 당국도 아니고 장차 우리나라를 책임 질 학생들이다. 한글을 국제적인 글자로 만들어 나가면서 한편으로 한자교육을 강화시키는 것이 나라를 튼튼하게 만드는 것이다. 한자문화권에서 사는 사람으로서 한자를 모르면 원만한 문화생활을 영위할 수 없다. 동북아의 경제 문화교류 증가로 한자의 중요성은 날로 커진다. 중국과 일본의 거래처와 한문으로 된 명함을 교환해 서로 알 수만 있어도 그만큼 가까워지는 것이다.

앞으로 우리는 새로운 한글을 개발하여 세계로 수출하고, 초등학교부터 한자교육을 강화하여 국어교육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