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교육감, 지방공무원 차별 시정해야"
상태바
"교육감, 지방공무원 차별 시정해야"
  • 김두헌 기자
  • 승인 2013.10.01 14: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도교육감協 규탄결의대회…관리수당 지급, 병설유치원 겸임발령 중단, 행정실 법제화 촉구
공무원노조 교육청본부 관계자들이 시도교육감협의회가 열린 춘천에서 지방공무원 차별철폐를 요구하며 규탄대회를 가졌다.

초·중·고등학교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교육감 소속 지방공무원들이 차별시정과 노동조건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전국공무원노조 교육청본부(본부장 이병일)는 30일 오후 춘천 라데나리조트 앞에서 조합원 150명이 참여한 가운데 ‘교육감소속 지방공무원 노동조건 개선 촉구 및 시·도교육감 규탄 결의대회’를 열고 이같이 촉구했다.

이날 춘천 라데나 리조트에서는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가 열렸다. 이들은 이날 “교육감소속 지방공무원의 인사권자인 시·도교육감이 노동자 처우개선에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일방적으로 지급 중단된 관리수당 지급 ▲병설유치원에 불법 겸임발령을 중단하고 별도 정원 배치 ▲행정실 법제화 ▲지방공무원 근무시간 차별 적용시도 중단 ▲학교별 기술직 배치를 촉구했다.

지난해 9월 헌법재판소가 중학교 학교운영지원비(육성회비) 징수를 위헌으로 판결함에 따라 이를 재원으로 교원과 지방공무원들에 지급되던 수당이 중단됐다. 하지만 교육부는 올해 5월부터 교원에게만 보전수당을 지급하기로 결정해 지방공무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들 단체들은 “헌재의 판단은 정부가 교육재정을 더 투자해 의무교육을 강화하라는 뜻이지 공무원 수당 삭감을 요구한 게 아니다”며 “정부는 교원과 직원간 차별을 조장하고 노노 갈등을 촉발해선 안된다"고 비판했다.

또한 "지방공무원들의 업무과중도 심각한 상황"이라며 "정부가 공교육 혁신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교원의 업무를 직원에게 이관하면서도 인력을 늘리지 않아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특히 "학교행정실을 법제화해 조직과 인력 기준을 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이날 춘천 규탄결의대회에는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교육청본부와 전라남도교육청공무원노동조합, 전북교육청지방공무원노동조합, 광주교육청공무원노동조합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