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3․1 운동과 국경일
상태바
3․1 운동과 국경일
  • 장용열
  • 승인 2020.03.03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용열∥교육행정에디터·정책분석평가사

올해는 3․1운동이 일어난 지 제101주년이 되는 해다. 3·1운동은 우리민족이 우리나라 통치권을 일본에게 무력으로 빼앗기고 온갖 굴욕과 고통을 받게 되자 일본의 식민 통치에 맞서 일어난 온 겨레의 항일 민족 독립운동이다.

3․1운동 당시 사망자수가 7,500명이상 발생했고 구속자수도 47,000여명에 달했던 슬픈 날이다.

그런데, 3․1절은 국경일이다. 국경일이란 뭔가? 국경일(國慶日)은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을 말한다. 3․1운동을 하다가 많은 국민들이 죽은 이 날이 왜 국경일로 지정됐을까? 필자는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인 5대 국경일(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에 3․1절이 포함된 이유와 그 의미를 찾아보았다.

1895년 10월 8일 새벽 일본 공사 미우라의 지시를 받은 낭인들이 명성황후의 침소인 경복궁 옥호루로 쳐들어가 명성황후를 시해하고 시신을 불태웠다. 이렇게 일제는 우리나라 왕비인 명성황후를 죽이고 헤이그 밀사사건을 빌미로 고종을 왕위에서 쫓아냈다. 왕위에서 쫓겨나 덕수궁에서 만년을 보내던 고종은 1919년 1월 21일 식혜를 마시고 급서했다.

고종이 식혜를 먹고 독살 당했다는 소문이 확산됐고 고종의 사망으로 항일감정은 극에 달했다. 이에 분노한 국민들은 고종황제의 인산날인 3월3일에 맞추어 전국에서 올라온 많은 국민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기로 날을 정했다.

“대한 독립 만세”를 외쳤던 많은 국민들이 일본인의 총칼 앞에서 죽었다. 그날이 바로 3월 1일이다. 3․1운동을 하다가 많은 국민들이 죽은 이 날이 왜 국경일로 지정됐을까? 그 당시 전세계는 영국, 프랑스 등이 많은 나라를 식민지로 삼고 있었다. 전 세계의 1/3이 식민지였는데 그 시대에는 왕을 죽이면 그 나라를 정복할 수 있는 왕 중심의 정치체제였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왕이 죽었지만 전 국민들이 나라를 지키겠다고 일어나니까 전세계가 깜짝 놀란 것이다. 우리나라의 3․1운동을 보고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에서는 간디가 비폭력저항운동을 하게 됐고 중국의 5.4운동에도 영향을 주게 됐다. 이렇게 3․1운동은 세계사적으로 큰 획을 그은 사건으로 우리민족의 저력을 보여준 날이라서 국경일로 기념하는 것이다.

그 당시에는 ‘독립’이라는 말만 꺼내도 잡혀갔지만 이제는 마음껏 불러볼 수 있다.  “대한 독립 만세!” 독립운동을 하다 일본군에게 잡히면 모진 고문을 당했다. 일제는 독립운동을 하다 잡히면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공개적으로 목을 자르고 처형했다. 우리 국민들에게 공포심을 심어주어 꼼짝 못하게 하기 위해서다.

특히, 일본제국주의의 만행중 가장 악랄하고 반인륜적인 것은 731부대에서 행한 생체실험이다. 일제는 ‘마루타’(인체 실험대상자)라고 해서 사람을 잡아다가 일본 군영내에서 생체실험을 자행했다. 나라를 빼앗긴 국민들의 목숨은 일본군에게는 파리 목숨과 같았다. 마취 없이 생체해부를 하고, 임산부도 묶어놓고 해부했다.

생화학무기를 만들기 위해 많은 사람들을 실험실의 개구리처럼 해부하고 독가스를 먹였으며 알몸으로 바깥에 새워두고 물을 뿌리면서 얼마나 빨리 몸이 얼고 동사하는지 체크하는 등 끔찍한 실험들을 자행했다. (2019년 7월 31일자, 호남교육신문 '8월 29일, 나라 잃은 경술국치일(庚戌國恥日) 잊지 말자' 참조)

우리 잊지 말자!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면 또다시 아픈 역사가 반복된다. 다시는 이런 아픔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일제의 만행을 꼭 기억했으면 좋겠다. 끝으로 16세의 어린나이에 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잡혀 서대문 형무소에서 모진 고문을 받고 팔이 잘리고 귀가 잘리고 죽는 그 순간 까지도 대한의 독립을 그리며 만세를 외쳤던 유관순열사의 어록(마지막 유언)을 옮겨본다.

“내 손톱이 빠져나가고, 내 귀와 코가 잘리고, 내 손과 다리가 부러져도,
고통은 이길 수 있사오나, 나라를 잃어버린 그 고통만은 견딜 수가 없습니다.
나라에 바칠 목숨이 오직 하나 밖에 없는 것만이 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

※덧붙이는 글∥이 글을 쓰면서 국학원의 ‘민족혼 교육 강의 내용’을 많이 참고했음을 밝힙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